4월, 2024의 게시물 표시

[AI와 반도체] 경영대학원 특강

이미지
<AI와 반도체> 얼마전 저녁, MBA (경영대학원)에서 특강을 했습니다. 경희대 서울 Campus 오비스홀. 제가 지난 가을에 ‘특강’을 제안했고- 새학기에 신봉화 교수님의 <AI와 마케팅> 과목에서 해보기로 합니다. 저로서는 대상에 맞추려고 이리저리 궁리를 했습니다. 처음 잡았던 제목 <AI와 반도체>… 크다면 크고- 어떻게 무엇을 이야기하면 좋을까요? -국제반 과목이라 거의 중국출신 경영 학생들. 다행히 한국어 잘 알아듣는 답니다. (표지) 저는 SK hynix에서 저장 반도체 NAND를 설계하죠. 폰📱 분해 사진 보여줍니다. (소개) 이번엔 이력 중 다음 내용을 화면에 적고 설명합니다. “2009-2010 경희대 정보Display과 Post-Doc” “2012 가을: 대학교수 YUST 연변과학기술대학 통신전업” 직장 동료로 딱 한 계절을 함께 했는데- 여러 모로 특별한 인연이라 간간히 연락을 해왔습니다. 제안을 한 저도 적당한 모험심을 갖고 사는 편이고, 이런 과감한 제안을 수락한 분도 그런 걸로 생각합니다. ㅎㅎ 경영학과 강의에 공학자를 불렀습니다. (Happy Dreaming) [과학동아] 반도체는 누가 만드나? 내가 만들지! 반도체 엔지니어    https://youtu.be/bsNzB01KDZI?si=_cXWTFltoNEUqmLC 7:20 제 소개는 이 영상으로 해결합니다. (5:54) Q: 반도체 설계 엔지니어의 전망은? A: 반도체라는 분야는 진화를 할 것 같아요. AI 가 됐든 아니면 그 다음 어떤 뜨는 분야가 됐든, 반도체를 가지고 할 수 있는 일은 많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참 재미있는게 로봇 도 반도체 많이 쓰고요, 통신 분야도 반도체 많이 쓰고요, 자율주행 차 도 반도체를 많이 쓰더라구요. (6:29) Q: 꿈을 쫓는 청소년에게 한 마디 A: ~ 그 과정 중에 반도체 라는 분야 인공지능 AI 라는 분야가 워낙 유망하기 때문에 한 번 쯤 고려해봐도 좋을 꺼 같습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