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2024의 게시물 표시

[M16] Time Lapse - SK hynix

이미지
2018년부터 2020년 동안 한국 경기도 이천에 어마어마한 건물이 들어섰습니다.  저는 그 회사를 다니고, 그 회사 바로 앞에 삽니다. 근처에서 제일 높은 건물, 가장 꼭대기 층이죠.  엄청난 계획을 듣고 사진을 찍기 시작했습니다. Facebook에 올리고, 회사 안 blog에도 올렸지요. 좋은 행사에서 전국의 학생에게- 제가 느꼈던 뿌듯함을 나눈 적도 있습니다.  이번에 2024년 7월을 맞아- 그 장면을 다시금 소개합니다. Google blogger에 공유합니다.  https://news.skhynix.co.kr/presscenter/completion-of-future-growth-engine-m16-fab-   (발췌) SK하이닉스는 2018년 11월 M16 착공 이후 총 3조 5000억 원, 공사 인력 연인원 334만 명을 투입해 25개월 만에 준공했다. D램 제품을 주로 생산하게 될 M16은 축구장 8개에 해당하는 5만 7000㎡(1만 7000여 평)의 건축면적에 길이 336m, 폭 163m, 높이는 아파트 37층에 달하는 105m로 조성됐다. SK하이닉스가 국내외에 보유한 생산 시설 중 최대 규모다. 2018 Oct 27 공사를 시작합니다. 2018 Dec 25 큰 기계가 구멍을 뚫습니다. 2019 Mar 31 붉은 기둥과 하얀 기둥이 쑥 자랍니다. 2019 June 29  기둥들이 쑥쑥 자랍니다. 높은 쪽이 7단으로 보이네요.  2019 Aug 30 석양 속에 담긴 건설 모습이 푸르고 붉습니다.  2019 Nov 02  건물의 뒤 부분도 올라옵니다. 높이를 따라잡습니다.  2019 Dec 14 안개와 태양 빛을 배경으로, crane 학의 무리가 엄청난 둥지를 짓네요!  2020 Feb 15 구름이 몰려왔습니다. 마치 하늘에 떠있는 듯 합니다.  2020 Apr 01 이제 건물이 옷을 갖추어 입네요.  2020 May 31 ...

[여고-강연] 반도체와 AI_Holston

이미지
Holston 여고, 역사가 깊은 학교 입니다. 125년이네요.  여고에 가서, 강연을 하였습니다. 주제는 <반도체와 AI>  도서관인데~ 넓은 공간에 책상과 의자가 있고, 책과 책장도 함께있는 수준 높은~ 분위기 있는 장소입니다.    3학년, 2학년 물리반을 포함해, 1학년까지 있는 구성입니다. 신청받아 관심있는 학생이 들으러 왔습니다.      이번엔 강연 내용을 거의 그대로 여기 blog글에 담아보려 합니다.     표지입니다. 제목을 담았고, 작은 제목 '기억 DRAM과 저장 NAND, 그리고 AI 가속기'를 담았습니다.  휴대폰에 어떻게 들어있는지 설명합니다.  제 소개입니다. 이번에는 간단하게 했습니다. ##고 출신임을 나타냈습니다.  이번에는~ 준비하며~~ 고민이 깊었습니다. "어떤 이야기를? 어떤 질문을??"    회사 행사로 고교 가보았고, 학생 대상 online 행사도 참여했었는데- '제가 제안하여 구성한 강연'으로는 처음이라서... 어떤 이야기를 어떻게 할까? 고교 학생들에게 무슨 이야기를 해주는 게 좋을까?? 정말 많이 궁리했습니다. 그래서 이 page를 준비했습니다.         제 소개도, Engineer에 대한 소개도, 우리 회사에 대한 이야기도, 들어있는 영상입니다. Thanks to 과학동아.  https://youtu.be/bsNzB01KDZI?si=cDQcTRUNgfkYqirI [과학동아] 반도체는 누가 만드나? 내가 만들지! 반도체 엔지니어 2021. 8. 25. 7:20 ( link 통해서 youtube 영상 보실 수 있을 겁니다. 혹시 잘 안 되는 분은 제게 알려주세요~! ^^; )     (참고삼아 말씀드립니다. 영상에서 Google, Apple을 말했는데- 이 회사에서 설계하는 반도체는...

[충남대-반도체융합] 기억(Memory)와 AI 가속기

이미지
 충남대학교에 반도체융합학과가 생겼습니다. 올해 2024년 생겼답니다.   이번 2024년 봄 첫 학기 강의 중인데- 제가 요청을 받았습니다. 이전 직장 동료인데, 이번에 교수가 되었고- 첫 학기 강의 중에- 특강을 요청하네요. 하하 이렇게 기쁜 소식이 흔치 않죠! 흔쾌히 하겠다고 대답하였습니다.   무엇보다 교수 부임을 축하하였습니다. 즐거운 마음으로 준비하였습니다.    6월 초, [기억 DRAM과 저장 NAND, 그리고 AI 가속기] 란 강의를 하고 왔습니다.  저녁 강의였습니다. <반도체 소재+공정 융합 개론>이란 과목으로, 수강생은 약 50명 이었습니다.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반도체 소재부품장비 기본 과정>이란 게 있더군요.  https://ile.cnu.ac.kr/ile/innovation/microdegree.do     두구두구~ 저를 초청한 '전 직장 동료'는 누구일까요?       이종원 교수입니다. *^_____^* https://homepage.cnu.ac.kr/semicon/people/faculty.do 회사에서 3년간 같이 일했고, 꽤 오랜동안 연구소 (나노종합기술원)에서 일했죠.  제가 그 연구소(이름은 바뀌기전 나노종합팹센터)에서 2년을 일했기에- 이 연구소의 사람과 상황을 쫌 알죠. 지난 여름에 몇 년 만에 찾아가 점심을 함께한 적도 있습니다. 1년여 만에 이렇게 다시 만나니~ 무척 좋네요!  저녁 맛있게 얻어 먹고~ 이러 저러 이야기 나누었습니다.  6월 초의 대학 Campus 좋더군요. 미리 도착해서 오랜만에 충남대 Campus를 둘러보는 여유를 누렸습니다.  저는 20대의 10년 전체를 옆 학교에서 보냈기에- 이 학교 많이 드나들었지요. 가족 중에 누나가 여기 출신이고, 또 사촌동생 하나도 여기 출신입니다. ㅎㅎ 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