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대-반도체융합] 기억(Memory)와 AI 가속기
충남대학교에 반도체융합학과가 생겼습니다. 올해 2024년 생겼답니다.
이번 2024년 봄 첫 학기 강의 중인데- 제가 요청을 받았습니다. 이전 직장 동료인데, 이번에 교수가 되었고- 첫 학기 강의 중에- 특강을 요청하네요. 하하 이렇게 기쁜 소식이 흔치 않죠! 흔쾌히 하겠다고 대답하였습니다.
무엇보다 교수 부임을 축하하였습니다. 즐거운 마음으로 준비하였습니다.
6월 초, [기억 DRAM과 저장 NAND, 그리고 AI 가속기]란 강의를 하고 왔습니다.
두구두구~ 저를 초청한 '전 직장 동료'는 누구일까요?
이종원 교수입니다. *^_____^*
제가 그 연구소(이름은 바뀌기전 나노종합팹센터)에서 2년을 일했기에- 이 연구소의 사람과 상황을 쫌 알죠. 지난 여름에 몇 년 만에 찾아가 점심을 함께한 적도 있습니다. 1년여 만에 이렇게 다시 만나니~ 무척 좋네요!
저는 20대의 10년 전체를 옆 학교에서 보냈기에- 이 학교 많이 드나들었지요. 가족 중에 누나가 여기 출신이고, 또 사촌동생 하나도 여기 출신입니다. ㅎㅎ 여러 가지가 바뀌었는데- "도서관"은 많이 좋아졌더군요!
강의는 '반도체융합과'가 자리잡은 '공동실험실습관'에서 했습니다.
강연 내용은, 얼마전 경영대학원 특강과 유사하게 하였습니다.
https://kinkaist.blogspot.com/2024/04/blog-post.html
다만 이번에는 이력에서 '경희대' 관련은 감추고, 다음을 표현했습니다.
2010~2012: 나노종합기술원 선임연구원, Etch 공정 (구 나노종합팹센터)
(Happy Dreaming) [과학동아] 반도체는 누가 만드나? 내가 만들지! 반도체 엔지니어
제 소개는 이 영상으로 해결합니다.
(6:29) Q: 꿈을 쫓는 청소년에게 한 마디
A: ~ 그 과정 중에 반도체라는 분야 인공지능 AI라는 분야가 워낙 유망하니 한 번 쯤 고려해보면 좋아요.
(Nvidia “I AM AI” & Data Center Perfection)
두 편의 영상을 소개합니다. 여기 blog 글에서는 뒷 하나만 link 공유하고 설명합니다.
NVIDIA in the Data Center – Orchestrated to Perfection
멋진 music video죠. ChatGPT 같은 요즘 AI가 살고있는 Data Center 내부 모습을 보여줍니다.
저는 중간에 멈추어 요즘 hot한 HBM의 모습 설명합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