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U 충남대 특강] smart-phone 속 반도체
충남대 반도체과에, 2024 작년에 이어 올해 2025도 특강을 했습니다.
작년엔 교수 부임 첫 학기였고, 6월에 했습니다. [기억 DRAM과 저장 NAND, 그리고 AI 가속기] https://kinkaist.blogspot.com/2024/06/memory-ai.html
올해는 10월 2일, 추석 연휴 시작하기 전에 했습니다.
[산업체 최신 반도체 기술 동향 - 스마트폰 속 반도체]
작년과 같은 내용을 해도 된다고 요청 받기는 했습니다. 작년에는 3~4학년들이고 '융합'관점에서 '반도체'를 배우는 학생이었죠. 이번에는 "반도체과" 1학년 학생이라네요! 와우!!
신입생 60명을 오전 오후 분반으로 강의한다네요. 살짝 고민하고, 오전 10시반 수업과 오후 3시 수업을 모두 '특강'하기로 합니다.
어떤 주제로 어떤 이야기를 할까? 빠르게 고민했습니다. 어찌어찌- 나름의 도전을 해봅니다.
제가 참여한 [제3시선, With 최재붕 교수] 포노 사피엔스와 폰 그리고 반도체 Ep.1 & 2 를 활용하려고 마음 먹습니다. https://news.skhynix.co.kr/thirds-eyes-choijaeboong-1/
https://news.skhynix.co.kr/thirds-eyes-choijaeboong-2/
https://news.skhynix.co.kr/ambassador-job-log-ep3/
점심은~ 초대한 교수님이 맛있는 장어 요리를 사줘서~ 감사히 맛있게 먹었습니다.
아... 초대한 이종원 교수님 홍보합니다. *^_____^*
올해 7월 15일 ZDnet 소식입니다. https://zdnet.co.kr/view/?no=20250715153714 멤리스터 소자 한단계 진화…"SW없이 사람처럼 습관성 동작 가능"
KAIST-충남대 연구진, 뉴로모픽 반도체 기반 인공 감각 신경계 개발…신개념 로봇 시스템으로 입증도
저녁 시간에는 가까운 후배가 모교 KAIST 교수가 되어서~ 축하할 겸 사무실 구경을 하고 왔습니다. 혼자 가지 않고- 대전에 있는 지인 3명을 동원했답니다. 알찬 2025년 10월 2일(목)을 보냈네요!
댓글
댓글 쓰기